총 123 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생성시기: 2012 ~ 2015
출처: 국가보훈처
뉴스타파는 국가보훈처가 운영하고 있는 나라사랑 교육 전문 강사진 명단을 입수해 공개한다.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8월 01일
생성시기: 2012 ~ 2014
출처: 환경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 TF팀에서 수합한 ‘최근 3년(2012-2014)간 화학물질 사고 현황’ 자료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7월 18일
생성시기: 1945 ~ 2019
출처: 행정안전부,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친일파 중 해방 이후 대한민국 훈장을 받은 사람들의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뉴스타파는 민족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72만 건의 대한민국 서훈 내역과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인사 명단을 하나하나 대조했다. 그 결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훈포장을 받은 친일 인사는 222명, 훈장 수여 건 수로는 모두 440건이 확인됐다.
CSVPDF
마지막 수정 : 2019년 07월 18일
생성시기: 2019
출처: 정부 공직자윤리 위원회 등
2019년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 내역
## 최근 데이터는 뉴스타파 고위공직자 재산 정보 공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뉴스타파는 매년 3월 정기 공시되는 재산변동내역을 사이트에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뉴스타파 고위공직자 재산 정보 공개 사이트에서는 2006년부터 연인원 3만 4백여 명의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신고 내용을 이름과 직책 등으로 검색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페이지에서 2011년 이후 공개 내역을 xlsx, csv 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뉴스타파 고위공직자 재산 정보 공개 사이트
https://jaesan.newstapa.org
XLSX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8월 20일
생성시기: 2000 ~ 2018
출처: 국토교통부, 환경부, 한국소비자원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와 환경부가 제공한 2000년 이후 리콜 정보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와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등록된 2000년 이후 무상수리 정보
차량 결함 포털 업로드 자료입니다.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1월 28일
생성시기: 2013
출처: 대구지역 8개 구군
뉴스타파는 지난 2월부터 대구지역 8개 구군을 상대로 3대 관변단체의 보조금 집행 내역을 정보공개 청구로 입수해 분석했다. 보조금 신청서와 실적보고서, 정산서는 물론 증빙영수증 목록 등을 일일이 대조하고 현장 확인 취재도 병행했다. 이를 통해 3대 관변단체의 상세한 보조금 사용 실태를 동단위 조직까지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8월 27일
생성시기: 2009 ~ 2012
출처: 전국 지자체, 통계청
뉴스타파가 전국 242개 지방자치단체들의 토건예산 비율과 복지예산 비율의 관계, 복지예산 비율과 자살률의 관계를 분석한 원본 데이터를 공개한다.
토건예산과 복지예산 데이터는 지난 23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지방자치단체 재정 건강 진단’ 자료와 동일하다. 자살률 데이터는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중 연령표준화 사망률 자료를 사용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이란 연령대 구성이 다른 집단간의 사망률을 비교하기 위해 만든 지표다.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1월 28일
생성시기: 2014
출처: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
2014년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시스템'에 공시된 자료(3,268개 사업장)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자료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8월 27일
생성시기: 2015
출처: 국회 도서관, 인터넷 서점 등
뉴스타파는 19대 국회의원의 저서 354권을 분석한 자료를 공개합니다.
CSV
마지막 수정 : 2019년 07월 18일
생성시기: 2015
출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뉴스타파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올해 1월 발표한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토대로 시군구별 성폭력 위험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성폭력 위험도를 읍면동 단위에서 상세하게 검색할 수 있는 <읍면동 별 성폭력 위험도 DB>를 만들어 공개합니다.
GEOJSON
마지막 수정 : 2019년 02월 04일